"블레셋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(새 문서: 분류:성경사전 가나안 땅에서 살아가던 민족으로 이스라엘 민족과는 끊임없는 경쟁을 하며 살아갔다. 현대어로는 팔레스타인으로...)
 
6번째 줄: 6번째 줄:
 
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지만, '''바다 민족'''의 후손이라는 학설이 있다. <ref>[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바다민족]</ref>
 
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지만, '''바다 민족'''의 후손이라는 학설이 있다. <ref>[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바다민족]</ref>
  
정확하지는 않으나 바다에서 왔음을 추측할 수 있는 구절이 성경에 있다.
+
이들은 다음 5개의 강력한 도시를 기반으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.  
{{경|신 2:23}}
+
[[가사]](현재의 가자지구), [[아스글론]], [[아스돗]], [[에그론]], [[가드]]
{{경|암 2:7}}
 
  
(2) 이 민족은 비 셈족으로서 할례를 행치 않는다(삼상17:36).
+
일찍부터 철기문명을 발전시켜서 이스라엘 민족을 공격했으나, [[다윗]]왕 시대에 처음으로 점령하고 공물을 받는 위치까지 역전되었었다.
 +
{{경|삼하 8:1}}
 +
{{경|삼하 21:5}}
  
블레셋에게 빼앗긴 <a href=http://kcm.co.kr/bible/exo/Tent/Tent08.html#02>법궤</A>가 옮겨간 경로 (3)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나올 때는 강한 블레셋 때문에 길을 멀리 돌아서 가기도 했다 (출17:36).
+
나중에 [[앗수르]]의 [[사르곤왕]]에 의하여 정복되었다.
 
+
{{경|사 20:1}}
(4)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에 들어가 강대한 5대 도시(가사,아스글론,아스돗에그론,갓)와 동맹을 맺어 이스라엘을 위협했다.
 
 
 
(5) 한때 지배적인 위치에 있다가 다윗왕 시대에는 이스라엘의 예속적 위치에놓였다(삼하8:1,21:5).
 
 
 
(6) 이스라엘 왕국 분열 때 돌깁을 꾀하였으나 실패하여 공물을 바치게 되었고 고 나증에 앗수르의 사르곤왕에 의하여 정복되었다(사20:1).
 
 
 
(7) 블레셋 사람의 종교는 이스라엘 사람과는 달리 가나안의 종교를 혼합하여셈계의 신 다곤을 섬긴다(삿16:23).
 
  
 
<references/>
 
<references/>

2018년 9월 30일 (일) 23:39 판


가나안 땅에서 살아가던 민족으로 이스라엘 민족과는 끊임없는 경쟁을 하며 살아갔다. 현대어로는 팔레스타인으로 현재도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가장 큰 갈등의 근원이 되고 있다.

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지만, 바다 민족의 후손이라는 학설이 있다. [1]

이들은 다음 5개의 강력한 도시를 기반으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. 가사(현재의 가자지구), 아스글론, 아스돗, 에그론, 가드

일찍부터 철기문명을 발전시켜서 이스라엘 민족을 공격했으나, 다윗왕 시대에 처음으로 점령하고 공물을 받는 위치까지 역전되었었다.

삼하 8:1그 후에 다윗블레셋 사람들을 쳐서 항복을 받고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서 메덱암마를 빼앗으니라


삼하 21:5그들이 왕께 아뢰되 우리를 학살하였고 또 우리를 멸하여 이스라엘 영토 내에 머물지 못하게 하려고 모해한 사람의


나중에 앗수르사르곤왕에 의하여 정복되었다.

사 20:1앗수르사르곤 왕이 다르단아스돗으로 보내매 그가 와서 아스돗을 쳐서 취하던 해니라